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real time web
- session
- DI
- JWT
- Project
- hanghae99
- programmers
- jenkins
- Stream
- Anolog
- python
- JPA
- cookie
- javascript
- Hibernate
- jQuery
- server send event
- spring
- WIL
- bean
- html
- oauth
- web
- SseEmitter
- Spring Security
- Java
- flask
- google oauth
- 생명주기 콜백
- 항해99
- Today
- Total
목록real time web (2)
끄적끄적 코딩일지
SSE(Server Send Event)에 대한 개념은 아래글을 참고하자 Web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표시하기 Http 통신은 한번 통신이 이루어지면 연결이 완전히 끊긴다.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Server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Client에 알릴 방법이 없다. 그렇다고 단순히 Request를 지속적으로 보낸다면 그만큼 서 blablacoding.tistory.com SSE는 Http 기반의 Streaming을 활용한 기술이므로 Spring-web 라이브러리가 필요하다. SSE를 사용하여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받아오도록 해 보자 Step 1. Controller에서 SSE 만들기 @Controller public class SseController{ // Client의 현제 연결 목록 privat..
Http 통신은 한번 통신이 이루어지면 연결이 완전히 끊긴다.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Server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Client에 알릴 방법이 없다. 그렇다고 단순히 Request를 지속적으로 보낸다면 그만큼 서버 성능을 쓸데없이 잡아먹고 의미없는 전송이 될 수 있다.(Short Polling) 때문에 실시간 Web을 개발하는것은 까다로운 기술쪽으로 속한다. 그렇다면 현제 Real Time 으로 웹을 개발하는 방법은 무엇인지 대표적인 방법 3가지를 알아보겠다. Polling, Long Polling 위에서 언급한것처럼 지속적으로 요청을 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다른점은 요청을 받고 바로 답을 해주는것이 아니라 데이터의 변화를 기다렸다가 응답을 해주는 방식이다. 때문에 Client에서는 응답을 받으면 바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