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Hibernate
- oauth
- 항해99
- session
- flask
- google oauth
- bean
- SseEmitter
- Stream
- JPA
- Anolog
- programmers
- server send event
- Java
- python
- html
- JWT
- Project
- jenkins
- WIL
- web
- 생명주기 콜백
- cookie
- spring
- javascript
- DI
- jQuery
- hanghae99
- Spring Security
- real time web
- Today
- Total
목록jenkins (2)
끄적끄적 코딩일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ydwDD/btrICPCGyCE/JxI7Ni8TVbeOthxC51rwk0/img.png)
저번글에 이어서 이번 글에서는 Spring 자동배포 방법을 포스팅 하겠다. ※ 먼저 이 글은 Spring 서버와 Jenkins서버가 분리되어 있으며 각 서버는 EC2 free tier Ubuntu 18.04 버전으로 되어있다. 자동배포는 Jenkins에서 SSH 연결을 통해 배포파일 업로드 및 Shell Script 실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현제 Ubuntu 20번대 버전에서는 Jenkins에서 SSH 연결을 하지 못하는 버그가 있으므로 참고하면 된다. 자동배포를 SSH를 통해서 하는경우 데시보 -> Jenkins 관리 -> 플러그인 관리 -> 설치 가능에서 Publish Over SSH를 설치한다. 이어서 Jenkins 관리 -> 시스템 설정에서 제일 아래에 있는 Publish over SSH에서 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B1xh/btrHo6Fym3N/oKlU6rs3KkkqJJywEyJ141/img.png)
※항해 99를 진행하면서 배포할 서버로 나의 EC2를 사용하게 되었다. 그중에 Spring을 개발하는 사람은 나포함 3명이다. 그런데 내가 쓴 코드를 반영해서 배포할때는 괜찮은데 다른 사람이 쓴 코드를 배포할때는 1. Github에서 해당 코드를 받음 (충돌이 일어나면 해결해야됨) 2. Intellij에서 bootJar으로 jar 파일 생성 3. EC2에 SSH 접속 및 FileZila(파일 업로드 프로그램)으로 접속 4. 기존 서버 종료 5. jar파일 업로드 6. 다시 Spring 서버 시작 ...... 그러다가 코드에 오류가 있으면 해당 부분을 맏은 팀원에게 전달하고 팀원이 해당 오류를 해결하면 다시 반복... 프리티어라도 나의 EC2서버니 다른사람에게 맏기기도 좀 그렇고 좋은 방법이 없나 고민하던..